올림푸스는 9월 10일 마이크로 포서즈 규격에 준수한 디지털 카메라 'OLYMPUS OM-D E-M1'를 10월초부터 출시한다고 발표했습니다.



'OLYMPUS OM-D E-M1'는 2012년 봄에 발표된 'OLYMPUS OM-D E-M5' 의 상위에 해당하는 제품으로 2010년 가을에 발표된 최고급 DSLR 카메라 'OLYMPUS E-5' 의 후속 제품으로 포서드와 마이크로 포서드 어느 렌즈에서도 자동초점이 작동하는 새로운 AF시스템 'DUAL FAST AF' 를 탑재하고 있습니다.



촬상소자는 새롭게 개발한 1,628만 화소의 4/3인치 Live MOS 센서를 탑재하였고 로우패스 필터를 제거하여 해상력을 향상시켰으며, 새로운 영상처리 엔진 ‘TruePic VII’을 통해 모아레를 제거하고, 선명도 최적화 보정과 배율 색수차를 보정합니다.



ZUIKO DIGITAL 렌즈를 장착했을 때에는 상면 위상차 AF가 자동으로 선택되어지고 ZUIKO DIGITAL 렌즈는 원래 위상차 AF용 렌즈로 콘트라스트 AF는 마이크로 포서즈 카메라에서 제대로된 성능을 발휘하지 못했지만 듀얼 패스트 AF는 E-5에 육박하는 AF 속도를 실현했으며, 최대 개방 F2 클래스의 렌즈는 E-5 이상의 AF 정밀도​​를 발휘합니다.

감도는 ISO 100~25,600. 촬상소자와 TruePic VII를 통해 고감도 화질도 향상되었으며 특히 암부 노이즈를 억제했으며, 탈색이 없는 노이즈 감소를 실현했습니다.
동영상은 1,920×1,080/30p의 H.264(mov) 형식을 지원한다. 

내장 EVF는 배율 약 1.48배의 신형을 탑재하였고 35mm 환산 0.74배로 풀프레임 DSLR 카메라에 필적하는 파인더 배율을 제공하며 패널은 LCD 컬러 필터식으로 236만 화소를 지원하여 E-M5의 144만 화소에서 크게 늘어났습니다. (표시 지연시간은 0.029초) 


[Image by itmedia]

손떨림 보정은 센서 시프트 방식으로 ‘5출 손 떨림 보정’을 탑재했습니다. 

와이파이(Wi-Fi) 기능을 탑재하여, 스마트 폰에서 라이브 뷰 촬영 시 촬영 모드(P/A/S/M/iAuto)의 변경이 가능합니다.

배터리는 E-M5와 같은 "BLN-1" E-5 "BLM-5"와 호환은 없으며 촬영 가능 매수는 약 350 장으로 방진 방적 성능의 E-M1 전용 배터리 그립의 발매는 10월에 출시되며 가격은 24,675엔. 본체와 HLD-7에 2개의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어 최대 640장의 촬영이 가능합니다.



blog image

Written by 클린블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