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덱은 코더(coder)와 디코더(decoder)의 합성어로 음성이나 비디오 데이터를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게 디지털로 바꿔 그 데이터를 사용자가 알 수 있게 모니터에 재생시켜 주는 소프트웨어로 동영상처럼 용량이 큰 파일을 작게 묶어주어 동영상 재생시 해당 코텍을 이용해 풀어서 재생 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동영상을 볼려고 하면 코덱이 없습니다' 라고 나오면 최신통합코덱을 설치해 주시면 동영상이
제대로 나옵니다.
오늘은 곰플레이어를 이용해 많은 분들이 동영상을 보시는데 해당 동영상 타입의 코덱이 없으면
상당히 많은 코덱의 링크가 나와 각각 따로 다운로드하여 설치를 하는데 'Z통합코덱'은 한번의
설치로 끝낼수가 있어 다운로드 방법과 설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아래 네이버 소프트웨어 자료실에 가셔서 다운로드를 해주세요`~
① 다운로드후 설치파일을 실행시키면 다음과 같이 사용권 계약과 설치 및 정보라고 나오는데
내용은 보셔도 되고 안보셔도 됩니다. 그리고 아래 '동의함' 을 클릭 하세요.
② 기본설치 위치는 프로그램파일 폴더이지만 다른 폴더를 원하시면 찾아보기로 선택 하신후
'계속' 을 클릭해 주세요.
③ 전문가가 아니시라면 기본구성요소인 '일반적인 목적에 맞도록 환경설정을 구성합니다.'를
선택하시고 '계속' 을 클릭 합니다.
④ 자막출력 부분이 나오는데 곰플레이어는 따로 설정을 할 필요가 없으니 '계속' 버튼을
클릭해 주세요.
⑤ 오디오 출력 설정 부분인데 저는 '채널 그대로(변경없음)' 을 선택 하였지만 이부분을 클릭하면
여러가지 채널이 나오는데 본인에게 맞는 채널을 선택하신후 '계속' 을 클릭 합니다.
⑥ 비디오 품질설정 화면이 나오는데 기본이 '일반모드' 이나 자신의 컴퓨터가 사양이 좋거나
그렇치 않을 경우 자신에게 맞는 사양의 비디오 품질모드를 설정하고 '계속' 을 클릭합니다.
⑦ 확장자 연결 부분인데요 '곰플레이어' 사용자는 그냥 '계속' 을 클릭합니다.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사용자만 클릭
⑧ MediaInfo 설정 부분인데 무시하시고 하셔도 되지만 정보가 보기 싫으시면 체크해제를
하신후 '계속' 을 클릭합니다.
⑨ 아이콘 생성 설정부분으로 원하시는 부분을 체크하고 '계속'을 클릭합니다.
저는 기본으로 합니다.
⑩ 아래와 같이 '추가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음' 을 선택하시고 '설치'를 클릭 합니다.
이것을 하지 않으면 원치 않는 번들프로그램이 설치되니 주의하세요.
⑪ 설치중 화면이 나온후 아래와 같이 설치 완료 화면 나오면 '확인' 을 클릭합니다.
앞으로 곰플레이어 이용시 코덱 설치에 관한 메시지가 거의 나타나지 않을겁니다.
이상 'Z통합코덱(zcodec)' 의 다운로드와 설치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